mobile background

마라톤 무용 초청 공연


초청 이지희무브포켓

< Dots >



본 작품은 도형의 기본 요소라 할 수 있는 점, 선, 면이 만나 생기는 교점의 형태를 우리의 삶에 비유한 작품이다. 


흩어져있던 작은 점들이 모여 하나의 화음을 이루듯이 타인과 타인이 만나 연을 만들고 화합과 충돌, 때론 엉켜 붙어 예상치 못한 나비효과를 만들어내는 여러 삶의 모습을 이미지화하였다. 


예기치 않은 순간들의 연속에서 우리는 그렇게 따로 또 함께 걸어가며, 기억 속 끊임없이 새로운 교점을 재생산해나간다.



안무자 : 이지희 

출연진 : 변민지, 이지희








중견  유혜진

< 비손, 깃들다 >



비손은 간절한 마음으로 손을 빌며 기도하는 행위이다. 

무너질 듯 흔들렸던 삶의 갈피마다 되새긴 기도의 숨결은 끝내 나를 일으켜 세운 몸의 기억이 되었다. 

작품 <비손, 깃들다>는 세상의 무게를 밀어내고 나 자신의 길을 걸어가고자 하는 안무자의 의지를 결단의 몸짓으로 그리며, 두려움과 한계를 넘어 새로운 날을 향한 염원을 춤춘다. 버티고 견뎌 온 

시간에게 뜨거운 위로를 보내며, 살아갈 내일에게 격려와 응원을 담아 자유롭게 날아오르기를...



안무자 : 유혜진 

출연진 : 유혜진







중견 두아코댄스컴퍼니

잇는 그대...Low >



본 작품 <잇는 그대, Low...>는 '자신을 낮추어 겸손한 태도로 서로의 삶을 마주한다'는 존중의 의미와 '자연의 있는 그대로 땅과 이어져 있는 돌' 이라는 상징을 중심으로, 돌이라는 물질을 통해 인간의 삶을 투영하고자한다. 삶의 복잡성과 변화, 그리고 완벽하지 않은 불완전함에 대해 탐구하고, 자연과 인간의 연결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잇는 그대, Low...>는 자연과 문명에 대한 사색과 성찰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삶의 복잡성, 변화 그리고 삶의 불완전함을 탐구하며, 관객들에게 공감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안무자 : 정진우 

출연진 : 임다은, 이채은, 고나은, 정선아, 강예림

음악 : 유지완








중국  要文立 (YAO WENLI) / 李宜柯 (LI YIKE) 

< INSIDE >



모든 사람은 자유를 갈망하지만, 

우리는 오히려 그 자유 안에 갇혀 본래의 형태와 사고를 무너뜨렸다.

속박에서 벗어나려 할 때, 이 세상에 절대적인 자유는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안무자 : 要文立 (YAO WENLI) / 李宜柯(LI YIKE) 

출연진 : 要文立 (YAO WENLI) / 李宜柯(LI YIKE)








초청 에스디아트엔코

< 리듬의 側 >



리듬의 측(側)’은 우리 사회 안에서 인간의 리듬에 관한 이야기이다. ‘

측(側)’은 어떤 무리의 한쪽을 상대적으로 이르는 말로, 우리의 일상 속 한쪽으로 쏠려 있거나, 

혹은 그 사이에 위치한 ‘불균형한 몸’의 상태를 발견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사회는 모든 개인에게 동등한 ‘균형’상태가 아니다. 균형이 깨지는 순간, 

– 일상의 리듬이 깨어지는 순간, 불규칙과 이탈, 불균형 속에 혼재된 몸을 발견한다. 

어디서 균형과 규칙은 깨어진 것일까? 

불균형 사이에 우리는 자신의 몸을 발견한다.



안무자 : 정수동 

출연진 : 양진영, 정강한, 천왕록, 유지향, 박현지, 신정민, 김승연, 정수동







초청  댄스플랜 홍은주 무용단

< 반음>  반음을 타고 오르는 아리랑 고개 



< 반음 > 본 작품은 불완전한 삶의 결과 어긋남 속에서도 자기 자신과 마주하고, 결국은 그 자신을 껴안는 과정을 그려낸다.

‘반음’은 낮지도 높지도 않은 어긋난 음이지만,그 어긋남은 삶을 견디고 춤추게 하는 존재의 리듬이다.‘현재의 나’는 ‘내 안의 나’와 하나가 되어,불완전함까지 끌어안는 삶의 화해이다.


#1.  Rest (休止-멈춤의 숨)

#2. Dissonance (不和音-어긋난 마음의 간격)

#3. Glissando (滑奏-미끄러지는 시간의 결)

#4. Odd (異常- -낯선 리듬의 충돌)

#5. Coda (終結部 / 반음의 끝, 시작의 여운)



안무자 : 홍은주

협력안무 : 박종원

출연 : 홍은주, 박종원, 홍정희(DJing), 임세란(거문고)

음악감독 : 홍정희

무대디자인 : 김종석 

사진 : 박상윤

분장 : 김유진






마라톤 무용 초청 공연

초청  이지희 무브포켓

< Dots >



본 작품은 도형의 기본 요소라 할 수 있는 점, 선, 면이 만나 생기는 교점의 형태를 우리의 삶에 비유한 작품이다. 


흩어져있던 작은 점들이 모여 하나의 화음을 이루듯이 타인과 타인이 만나 연을 만들고 화합과 충돌, 때론 엉켜 붙어 예상치 못한 나비효과를 만들어내는 여러 삶의 모습을 이미지화하였다. 


예기치 않은 순간들의 연속에서 우리는 그렇게 따로 또 함께 걸어가며, 기억 속 끊임없이 새로운 교점을 재생산해나간다.



안무자 : 이지희 

출연진 : 변민지, 이지희



중견 유혜진

< 비손, 깃들다 >



비손은 간절한 마음으로 손을 빌며 기도하는 행위이다. 

무너질 듯 흔들렸던 삶의 갈피마다 되새긴 기도의 숨결은 끝내 나를 일으켜 세운 몸의 기억이 되었다. 


작품 <비손, 깃들다>는 세상의 무게를 밀어내고 나 자신의 길을 걸어가고자 하는 안무자의 의지를 결단의 몸짓으로 그리며, 두려움과 한계를 넘어 새로운 날을 향한 염원을 춤춘다. 버티고 견뎌 온 시간에게 뜨거운 위로를 보내며, 살아갈 내일에게 격려와 응원을 담아 자유롭게 날아오르기를...



안무자 : 유혜진

출연진 : 유혜진



중견 두아코댄스컴퍼니

잇는 그대...Low >



본 작품 <잇는 그대, Low...>는 '자신을 낮추어 겸손한 태도로 서로의 삶을 마주한다'는 존중의 의미와 '자연의 있는 그대로 땅과 이어져 있는 돌' 이라는 상징을 중심으로, 돌이라는 물질을 통해 인간의 삶을 투영하고자한다. 삶의 복잡성과 변화, 그리고 완벽하지 않은 불완전함에 대해 탐구하고, 자연과 인간의 연결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잇는 그대, Low...>는 자연과 문명에 대한 사색과 성찰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삶의 복잡성, 변화 그리고 삶의 불완전함을 탐구하며, 관객들에게 공감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안무자 : 정진우 

출연진 : 임다은, 이채은, 고나은, 정선아, 강예림

음악 : 유지완



중국 要文立 (YAO WENLI) / 李宜柯 (LI YIKE) 

< INSIDE >



모든 사람은 자유를 갈망하지만, 우리는 오히려 그 자유 안에 갇혀 본래의 형태와 사고를 무너뜨렸다.

속박에서 벗어나려 할 때, 이 세상에 절대적인 자유는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안무자 : 要文立 (YAO WENLI) / 李宜柯 (LI YIKE) 

출연진 : 要文立 (YAO WENLI) / 李宜柯 (LI YIKE)



초청 에스디아트엔코

< 리듬의 側 >



리듬의 측(側)’은 우리 사회 안에서 인간의 리듬에 관한 이야기이다. ‘

측(側)’은 어떤 무리의 한쪽을 상대적으로 이르는 말로, 우리의 일상 속 한쪽으로 쏠려 있거나, 혹은 그 사이에 위치한 ‘불균형한 몸’의 상태를 발견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사회는 모든 개인에게 동등한 ‘균형’상태가 아니다. 균형이 깨지는 순간, - 일상의 리듬이 깨어지는 순간, 불규칙과 이탈, 불균형 속에 혼재된 몸을 발견한다. 

어디서 균형과 규칙은 깨어진 것일까? 

불균형 사이에 우리는 자신의 몸을 발견한다.



안무자 : 정수동 

출연진 : 양진영, 정강한, 천왕록, 유지향, 박현지, 신정민, 김승연, 정수동



초청  댄스플랜 홍은주 무용단

< 반음 > 반음을 타고 오르는 아리랑 고개



<반음> 본 작품은 불완전한 삶의 결과 어긋남 속에서도 자기 자신과 마주하고, 결국은 그 자신을 껴안는 과정을 그려낸다.

‘반음’은 낮지도 높지도 않은 어긋난 음이지만, 그 어긋남은 삶을 견디고 춤추게 하는 존재의 리듬이다.‘현재의 나’는 ‘내 안의 나’와 하나가 되어, 불완전함까지 끌어안는 삶의 화해이다.


#1. Rest (休止-멈춤의 숨)

#2. Dissonance (不和音-어긋난 마음의 간격)

#3. Glissando (滑奏-미끄러지는 시간의 결)

#4. Odd (異常- -낯선 리듬의 충돌)

#5. Coda (終結部 / 반음의 끝, 시작의 여운)



안무자 : 홍은주

협력안무 : 박종원

출연 : 홍은주, 박종원, 홍정희(DJing), 임세란(거문고)

음악감독 : 홍정희

무대디자인 : 김종석 

사진 : 박상윤

분장 : 김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