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ADFK 전문가 무용 워크숍
현대 무용 수업
Contemporary Dance
본 워크숍은 복잡한 현대 무용의 안무 구성, 열 맞춤, 이동 방식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참가자는 이를 통해 신체의 뼈와 근육을 이완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움직임을 위한 기본적인 연습을 진행하고,무용의 다양한 요소를 집중적으로 다루며 몸의 흐름과 표현 방식을 심화시킬 수 있게 도와준다.
마이클 와이츠 Michael Whaites (호주)
무용 예술가 마이클 와이츠는 지난 35년 동안 무용수, 안무자, 교육자였다. 1995년 독일의 탄츠테아터 부퍼탈 피나 바우쉬에 입단해 세계 여러 곳에서 공연했으며, 세계 여러 무용단과 교육기관에 초청받아 활동했다. 현재 호주 WAAPA 이디스 카원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LINK 무용단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7월 3일 14:30~16:00 성남 아트리움 (연습실)
7월 5일 15:30~17:00 서울예술인지원센터 (프로젝트룸)
흑인 현대 무용 테크닉: 근원적 리듬
Afro- Contemporary Technique: Rooted Rhythm
본 워크숍의 흑인 현대 무용 테크닉 수업은 참가자들이 몸과 마음, 정신을 몰입하여 움직임을 익히고, 테크닉을 넘어 자신만의 무대 위 움직임을 탐구하도록 돕는다. 수업은 호흡, 열 맞춤, 리듬, 신체 표현에 초점을 맞추며, 포스트 모던 미학, 아프리카 움직임 기술, 캐서린 던햄 테크닉 등을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빠르게 진행되지만 매우 유익한 이 수업은 참가자들이 다양한 움직임 기법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나드 브라운 Bernard Brown (미국)
무용가, 안무가, 예술 활동가이자 교육자인 버나드 브라운은 흑인의 정체성, 소속감, 기억의 교차로를 작업대로 삼는다. Bernard Brown/bbmoves의 감독으로 파나마, 이스라엘, 브라질, 그리고 미 전역에서 작품 활동과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다. UC San Diego 대학교 무용과 조교수이자 캐서린 던햄 테크닉 인증 강사로도 활동 중이다.
7월 2일 13:30~15:00 서울예술인지원센터 (프로젝트룸)
7월 5일 14:00~15:30 서울예술인지원센터 (프로젝트룸)
Motive on Pattern
본 워크숍 "모티브와 패턴"을 주제로 이진수처럼 간단한 형식을 기반으로 점차 기하학적 구조를 창작하는 과정이다. 참여자들은 단순 움직임 모티브를 조합하여 본인만의 독창적인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단순한 동작에서 점차 복잡한 시각적 표현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통해 패턴
안무 탐구에 중점을 둔 수업이다.
신창호 Chang Ho Shin (한국)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실기과 예술사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실기과 예술전문사
성균관대학교 무용학 박사
Laboratory Dance Project 대표
오스트리아 Innsbruck Tiroler Landestheater 객원안무
스위스 St. Gallen Stadttheater 단원
7월 5일 13:00~14:00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다락 3F)
말하는 몸
The Body Speaks
본 워크숍에서는 즉흥적인 움직임을 통해 창작을 탐구하는 신체-정신-영혼의 전인적 경험을 한다. 자신과의 대화를 위해 신체를 중요한 매개체로 사용하고, 유연한 탐색을 위해 마음을
자유롭게 여는 방법, 몸의 대화를 통해 무용 작품을 창작하고 감상하는 방법들을 배운다. 오감을 통한 감각 경험을 활용하여 움직임을 구성하고 해체하면서 무용 움직임의 재구성을 유도한다. 특정한 도구를 사용해 움직임을 개발함으로써 자신만의 언어를 발견할 수도 있다. 신체적, 정신적, 감정적 탐구에 중점을 두며 창작 작업의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서니 사보이 Sunny Savoy (멕시코)
안무가, 교육자, 현대 무용가인 서니 사보이에게 창작 작업은 삶의 방식이자 존재의 이유이다. 작품은 언제나 현재의 세상을 반영한다. 인간이 겪는 경험, 우리 사이의 관계, 선택에 따른
책임 등을 탐구하며 신체와 영혼의 성장을 끊임없이 추구한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술가들과 협업을 통해 움직임과 표현의 대안적인 해결책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녀는 서니 사보이 무용단의 예술감독으로서 북미, 남미, 유럽 등지에서 많은 작품을 공연했으며, 현재 멕시코
누에보레온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7월 6일 12:30~13:30 서울예술인지원센터 (아고라)
6개의 관점 - 파트너와 협력하는 방법
SIX VIEWPOINTS - How to collaborate, create and craft with any partner(s)
안무를 위한 여섯 가지 관점(공간, 형태, 시간, 감정, 움직임, 스토리)을 탐구한다. 누구나 배울 수 있는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공연 창작 테크닉으로 다양한 형태의 공연 창작 시도를 실제 관객을 위한 작품으로 발전시키는 요소가 무엇인지 이해하게 해준다. 창작을 위한 6개의 관점 혹은 시작점을 매개로 창의적인 선택을 넓힘으로써 잠재해 있던 각자의 창의성을 표출시킨다.
사이러스 캄바타 Cyrus Khambatta (미국)
사이러스 캄바타는 미국 뉴욕대학교 티쉬 예술대학에 재학 중에 캄바타 무용단을 설립했다. 이후, 러시아, 리투아니아, 싱가포르, 인도, 멕시코, 캐나다, 프랑스, 독일 등 세계 많은 곳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리리 우드버리 댄스, 피소로요(베네수엘라), 스펙트럼 댄스 시어터, 에버그린 시티 발레, 보스턴 댄스 시어터 등 많은 곳의 후원을 받았으며, 캘리포니아 대먼 뉴 안무상, 예술 리더십 프로그램 상 등을 수상했다. 올해로 19회째를 맞는 미국 시애틀 국제 댄스 페스티벌 창립자이자 예술감독이다.
7월 4일 15:00~16:30 M 극장 연습실
2025 ADFK 시민참여 수업
김백봉부채춤 보존회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The Mugunghw have Blossomed
부채춤은 대한민국은 물론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지금까지도 즐겨추는 한국의 대표적인 춤이다. 특히, 부채춤하면 결코 빠질 수 없는 꽃
대형은 김백봉의 상상력에 의해 창안되었으며, 그 상징은 "무궁화"(한국 국화)이다.
1954년 서울시공관에서 김백봉에 의해 독무로 초연된 이후, 1968년 멕시코 올림픽 세계민속예술축제에서 부채춤을 군무로 선보이며 "예의 금메달"이라는 찬사를 받았고,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사랑 받으며 큰 파장을 일으켰다. 또한, 미국 공보원(U.S.I.S) 영화 과장이었던
넬슨 본네스 씨는 김백봉이 추는 부채춤을 보고 강렬하고 깊은 감명을 받아, Liberty News 공보사업의 일환으로 김백봉의 부채춤을 촬영했다. 이후, 전국 방방곡곡에서 뉴스와 함께
상영되며 김백봉의 부채춤은 순식간에 사람들에게 알려졌고, 학교나 지방 문화 행사 때마다 들불처럼 부채춤이 등장하기 시작하며 대중 속으로 자리 잡게 된다.
김백봉은 나라의 번영과 하나됨을 주제로 부채춤을 군무로 창작하며, 부채춤을 추는 사람뿐만 아니라 감상하는 사람 모두에게 행복과 사랑의 향기가 가득하길 기원했다.
부채춤으로 우리 모두가 하나되기를 염원한다.
임성옥 LimSungOk (한국)
김백봉춤보전회 부회장
김백봉부채춤보존회 회장
CID-UNESCO 전통무용전문가과정 지도교사
경희대학교 한예종무용원 출강
사)대한무용협회 상임이사
사)한국춤협회 상임이사
7월 6일 15:00~16:00 서울예술인지원센터(아고라)
화합의 몸짓 <수월래>
Gesture of Harmony <Suwollae>
서울국제댄스페스티벌 인 탱크의 오프닝 공연을 준비하는 워크숍으로, 한국의 전통 춤과 현대 춤이 어우러진 화합의 무대를 만든다.
전통과 현대 그리고 다양한 문화가 어우러지는 서울국제댄스페스티벌 인 탱크 오프닝 쇼를
위한 워크숍이다. ‘덧’ 난것을 베어버리고 공동체의 협력과 화합을 의미하는 덧배기 춤을 모티브로 하여 그 기본동작을 배우고 이를 현대적으로 풀어내 각국의 무용수가 함께 작품을 만들어 나간다. 덧배기춤의 강렬한 에너지와 글로벌 무용수들의 창의적인 표현이 어우러진 화합의 장을 선사한다.
김현선 Hyunsun KIM (한국)
이화여자대학교 및 동대학원 졸업
국립국악중학교 강사
서울국제댄스페스티벌 인 탱크 운영위원
국가무형문화재 제40호 학연화대합설무 전수자
7월 1일 20:30~21:30 예술가의집 (라운지)
7월 2일 15:00~16:30 서울예술인지원센터 (프로젝트룸)
7월 3일 16:00~18:00 성남 아트리움 (연습실)
댄스&뮤직 플레이 K pop - 팝팝!
Pop Pop!
케이팝을 사랑하는 두 댄서가 만났다.
서로가 추구하는 몸의 움직임이 달랐지만 케이팝이라는 장르안에 우리는 하나가 되었다. 케이팝의 대중적인 모습과 마이너한 모습을 한번에 즐기면서 한국 특유의 매운맛도 맛볼수 있다.
서로의 색깔을 잘 녹여내어 만들어진 또 하나의 움직임!
함께 땀 흘리며 케이팝의 A부터 Z까지 몸으로 느낄 수 있는 시간!
서수지 / Kiki Sohsooji (한국)
SIDC 예술감독
전)서울종합예술학교 실용무용과학과장
JYP HYBE STARSHIP CUBE
엔터테인먼트 안무 트레이너
BTS 마마어워드 블랙스완 안무디렉터
안채리
한양대학교 미래인재교육원
2020 방탄소년단 MMA <Black Swan> 무용수
2021 엔믹스 <White Flag> 시안 댄서
2021 제 5차 유네스코 학습도시 국제 컨퍼런스 메인 테마 공연 무용수
2024 서울시 교육부 뮤지컬 <있잖아, 이번 가을에는 물망초를 심을 거야> 조안무
박요한
한양대학교 미래인재교육원
2020 방탄소년단 <Dionysus> 골든디스크 시상식 댄서
2020~2021 킹덤 1집(Excalibur), 2집(Karma), 3집(Black Crown) 뮤비 및 방송 댄서
2021 마마무(Aya,딩가딩가) MAMA 시상식 댄서
2021 BDC(Moon walker) 뮤비 및 방송 댄서
7월 6일 13:30~14:30 서울예술인지원센터 (아고라)
인탱크 클로징 네트워크 파티
Closing Network Party
국내외에서 참가한 음악가, 안무가, 무용수 그리고 다양한 예술인들과 함께 관객들도 같이 한데 모여 축제의 마지막 장을 장식하는 프로그램이다.
외국인 예술가의 음악과 국내외 다양한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시작으로 시민들은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따라하기도 하고, 시민들이 직접 춤을 제시하기도 하면서 예술인과 비예술인 사이의 벽을 허물며 축제를 마무리한다.
7월 6일 19:30 예술가의 집 (라운지)